https://n.news.naver.com/mnews/article/008/0005166064
"침체장까진 안 갈 것"…밸류에이션 낮아진 지금이 매수 기회?[오미주]
미국 S&P500지수가 13일(현지시간) 2023년 10월 이후 처음으로 조정장에 진입했다. 조정장이란 전 고점 대비 10~20% 사이로 하락하는 것을 말한다. 나스닥지수는 이미 지난 6일에 조정장에 들어섰다.
n.news.naver.com
이번주는 장이 참 다이내믹했는데요,
미국 러시아 우크라이나 관계도 그렇고, 여러모로 세계 정세도 어지러워서
이래저래 복잡했던 한 주 같습니다 ㅠ
관련해서 기사 요약해보며 내용 확인해볼게요,
주요 시장 상황: S&P500 조정장 진입
미국 S&P500 지수가 13일(현지시간) 2023년 10월 이후 처음으로 조정장에 진입했습니다. 지난 2월 19일 기록한 사상 최고가 6144.15 대비 10.1% 하락한 5521.52에 마감하며 '조정장(전 고점 대비 10~20% 하락)' 기준을 충족했습니다. 특히 이번 조정장 진입까지 걸린 기간은 단 16거래일로, 코로나 팬데믹 당시(6거래일) 이후 가장 빠른 속도입니다.
조정장의 역사적 패턴 분석
역사적 데이터를 살펴보면 꽤 긍정적인 신호가 보입니다:
- 2008년 이후 S&P500은 총 15번의 조정장을 경험
- 조정장 진입 후 30일까지는 평균 -1.7%로 약세 지속
- 3개월 후에는 평균 2.1% 상승, 6개월 후 4.9%, 1년 후 15.3%로 수익률 대폭 개선
- 조정장 이후 1년 뒤에도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한 경우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와 2022년 인플레이션 침체장 때뿐
바이츠 인베스트먼트 매니지먼트의 보고서에 따르면 "증시 조정은 1년에 평균 한 번 정도 발생하며, 보통 3~4개월 지속되는 단기적 이벤트"이고, "조정으로 인한 손실은 평균적으로 약 4개월 후에 회복"된다고 합니다.
이번 조정의 원인: 무역전쟁 우려
이번 조정의 주요 원인은 트럼프 행정부의 강경한 관세 정책입니다.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EU가 미국의 철강 및 알루미늄 수입품에 대한 25% 관세 부과에 반발해 보복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하자, 유럽산 와인과 샴페인에 200%의 관세를 매기겠다고 경고했습니다. 캐나다도 미국의 관세 조치에 보복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.
전문가들의 견해: "침체장 아닌 조정장"
월가 전문가들은 대체로 현재의 매도세를 침체장(전 고점 대비 20% 이상 하락)의 시작으로 보기는 어렵다는 입장입니다.
더 웰스 컨설팅 그룹의 탤리 레거 수석 전략가는 "인플레이션 압력이 완화되기 시작했고 기업들의 이익 성장세가 올해도 견조할 것"이라며 낙관적 관점을 유지하고 있습니다.
크릭머 웰스 어드바이저의 존 크릭머 CIO는 "지난 며칠과 몇 주 동안 증시의 하락 속도는 우리가 침체장이 아닌 조정장에 있다는 핵심 신호"라고 지적하며, "조정장은 기간이 짧고 빠르게 움직이지만 침체장은 오래 진행되며 단기간에는 약세 흐름을 파악하기 어려울 정도로 느리게 움직인다"고 설명했습니다.
투자 기회: 밸류에이션 낮아진 현재
최근 급락으로 S&P500 지수의 내년 주당순이익(EPS) 기준 주가수익비율(PER)은 18배로 지난 5년 평균(19배)보다 낮아졌습니다. 한 달 전만 해도 23배로 5년 만에 최고 수준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상당한 하락입니다.
배런스는 "미국 증시는 역사적으로 비싼 수준에서 거의 저렴한 수준으로 바뀌었다"며 장기 투자자들에게 이번 하락을 매수 기회로 볼 것을 조언했습니다.
<주목해야 할 이슈들>
- 3월 미시간대 소비자 심리 지수 (3/14)
- 2월 소비자 기대 인플레이션이 4.3%로 전월 대비 1%p 급등했던 상황
- 최근 물가지수(CPI, PPI)는 예상보다 낮았지만, 관세 정책으로 인플레이션 재반등 우려 존재
- 미국 정부 예산안 처리 마감일 (3/14)
- 예산안이 통과되지 않으면 정부 셧다운 가능성
- 실제 셧다운 시 투자 심리 악화 우려
기사 내용 상 역사적 패턴과 전문가들의 견해를 종합해볼 때,
현재의 조정장은 장기 침체보다는 단기 조정의 성격이 강해 보이긴 하나,
여전히 트럼프 발 관세 정책으로
여러 국가에서 보복 관세를 준비하는 등
어지러운 상황이라 관망하면서 매수지점을 찾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.
앱을 열어보기 무서웠던 한주였는데,
다음주는 조금 더 나은 상황들이 나왔으면 하네요ㅠ
'경제이야기 > Economi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'오락가락 토허제'와 은행 대출 조이기, 실수요자들의 고통 (0) | 2025.03.22 |
---|---|
1000조원 우크라이나 재건 시장, 향후 전망은? (0) | 2025.03.16 |
부동산 시장의 ‘영끌 리턴’, 과열일까 회복일까? (1) | 2025.03.09 |
"가상자산 족쇄 풀기" - 한국, 코인 시장의 새 전환점 될까? (0) | 2025.03.07 |
반도체 수출 16개월만에 마이너스 성장 (1) | 2025.03.01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