https://www.newsis.com/view/NISX20250321_0003107871
'오락가락 토허제'에 은행 대출 '조이기'…실수요자들 한숨만
[서울=뉴시스] 조현아 기자 = 정부와 서울시의 오락가락 '토지거래허가구역(토허제)' 지정에 따른 후폭풍이 확산되면서 대출 시장도 혼란에 휩싸이게 됐다. 정부가 강남3구(강남·서초·송파), 용
www.newsis.com
정부와 서울시의 일관성 없는 토지거래허가구역(토허제) 정책으로 인해 대출 시장이 혼란에 빠졌습니다.
이번 기사를 통해 현 부동산 정책의 문제점과 일반 서민들이 겪는 어려움을 확인해보겠습니다.
핵심 요약
- 정부가 강남3구(강남·서초·송파)와 용산구에 토허제를 지정하면서 은행권에 대출 관리 강화를 요청함
- 주요 은행들이 다주택자 대상 주택담보대출과 조건부 전세자금대출 중단 조치 시행
- 무주택 서민을 위한 정책대출(디딤돌, 버팀목)마저 금리가 인상되는 역설적 상황 발생
- 실수요자들의 내 집 마련 계획에 차질이 생기고 불안감 확산
은행들의 대출 제한 현황
- 우리은행: 3월 28일부터 강남3구와 용산구 내 유주택자 주택구입 목적 신규대출 중단
- 하나은행: 3월 27일부터 다주택자의 서울 주택구입 주담대 및 조건부 전세자금대출 중단
- SC제일은행: 3월 26일부터 2주택 이상 보유자 생활안정자금 목적 주담대 중단
- NH농협은행: 서울 지역 조건부 전세대출 중단
- KB국민은행/신한은행: 이미 다주택자 대상 신규 주담대 제한 중
정책의 문제점
현 상황의 가장 큰 아이러니는 투기 수요를 막기 위한 정책이 오히려 실수요자들에게 피해를 주고 있다는 점입니다. 올해 초 은행들이 대출 조건을 완화하기 시작했으나, 토허제 재지정 이후 다시 빗장을 걸어 잠그면서 주택 구매를 계획하던 일반 서민들이 혼란에 빠졌습니다.
금융감독원마저 "다주택자의 주택 구입과 갭 투자 등 투기 요소가 차단될 수 있도록 금융사의 자율관리 조치 강화를 지도하겠다"며 은행들의 대출 관리를 압박하고 있습니다.
실수요자들의 피해
특히 우려스러운 점은 무주택 서민을 위한 정책대출마저 금리가 인상된다는 것입니다:
- 디딤돌대출(무주택 주택구입)과 버팀목 대출(서민 전세자금) 금리가 수도권 한정 0.2%p 인상
- 주택도시보증공사(HUG)는 수도권 신규 분양 주택 담보 디딤돌 대출의 0.1%p 우대금리 폐지
결국 정부의 규제는 투기세력보다 오히려 내 집 마련을 꿈꾸는 일반 서민들에게 더 큰 타격을 주고 있습니다.
향후 전망
시장 과열이 지속될 경우 정부는 조정대상지역과 투기과열지구 추가 지정도 검토 중입니다. 이 경우 무주택자 주택담보인정비율(LTV)은 50%, 유주택자 LTV는 30%로 축소되어 대출 한도가 크게 줄어들게 됩니다. 이런 불확실성으로 인해 하반기에 강력한 대출 규제가 나오기 전 '막차 수요'가 몰릴 가능성도 제기됩니다.
참고) 토지거래허가제의 역사와 배경
토지거래허가제는 1978년 「국토이용관리법」에 의해 처음 도입되었습니다. 주요 목적은 투기적 토지거래를 억제하고 실수요자 중심의 건전한 부동산 시장을 조성하는 것이었습니다.
이 제도는 특정 지역을 '토지거래허가구역'으로 지정하여 해당 구역 내 토지를 취득하려면 사전에 관할 행정청의 허가를 받도록 하는 제도입니다. 현재는 「부동산 거래신고 등에 관한 법률」에 따라 운영되고 있습니다.
토허제가 생긴 주요 배경:
- 급격한 도시화와 산업화로 인한 토지 투기 방지
- 지가 안정 및 부동산 투기 억제
- 실수요자 중심의 토지이용 촉진
- 국토의 효율적 이용과 균형 발전 도모
애초에 토허제를 풀었을 때
정말로 이렇게 집값이 오르고,
갭투자 매물이 늘어날 것을 예상하지 못했을까라는
생각이 들긴 하는데요..
근 1달 만에 정책을 다시 변경을 하니
시장에 혼란만 주고 오히려 불안정함을 가속시키는 것 같네요ㅜ
부디 이 여파로 실수요자들에게
많은 피해가 가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
'경제이야기 > Economi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경쟁과 협력 사이: 삼성의 중국 시장 생존 전략 (0) | 2025.03.28 |
---|---|
동해 가스전 입찰 개시: 국내 첫 심해 가스전의 운명은? (0) | 2025.03.23 |
1000조원 우크라이나 재건 시장, 향후 전망은? (0) | 2025.03.16 |
미국 증시, 단기 조정일까 침체장 시작일까? (0) | 2025.03.14 |
부동산 시장의 ‘영끌 리턴’, 과열일까 회복일까? (1) | 2025.03.09 |
댓글